본문 바로가기
정아의 복습노트

20250716 대한제국멸망기1904~1910 한국사 시대구분 퀴즈 및 해설 오답체크 공무원 한능검 시험준비 데일리

반응형

20250716 대한제국멸망기 한국사
시대구분 퀴즈 및 해설 오답체크 공무원 한능검 시험준비 데일리

공무원 및 한능검 , 한국사에서 빠지지 않고 출제되는 대한제국 멸망기.
하지만 이 시기는 연도도 비슷하고 인물도 많이 겹쳐서 헷갈리기 쉬웠습니다.
을사늑약, 고종 퇴위, 정미의병, 국채보상운동, 통감부, 헤이그 특사…
흐름을 키워드 중심으로 정확하게 잡아두면 문제 유형이 달라도 절대 틀리지 않을것 같더라구요.
오늘은 그 목적에 맞는 문제와 해설을 적어보았습니다.
☆오류가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문제는 매일(월~금) 채팅방에 올라옵니다.
같이공부해요~~

https://open.kakao.com/o/gmwbVJAh

2026 공무원 시험준비 매일퀴즈 열공방 (대화x)

2026 공무원 시험 준비 퀴즈 매일 올려요. 같이 퀴즈풀고 공부루틴 만드실분 환영. #9급공무원, #일반행정직, #사회복지직, #공부습관, #공부루틴, #공시생, #초시생, #지방직, #영어, #국어, #한국사

open.kakao.com




문제 1

다음 중 순서상 가장 앞선 사건은?

① 을사늑약 체결
② 정미의병 결성
③ 통감부 설치
④ 고종 강제 퇴위



문제 2

다음 중 같은 시기에 일어난 사건을 모두 고른 것은?

① 황성신문에 여권통문 게재
② 독립신문 창간
③ 대한제국 선포
④ 원산 총파업 발생



문제 3

다음 중 고종의 강제 퇴위 이후에 일어난 사건은?

① 대한매일신보 창간
② 13도창의군의 서울 진공작전
③ 을사늑약 체결
④ 국채보상운동 전개



문제 4

다음 중 같은 시기의 사건이 아닌 것은?

① 일본이 외교고문을 파견
② 스티븐스가 외교 고문으로 활동
③ 통감부가 설치되어 외교권 장악
④ 총독부가 설치되어 조선총독이 부임



문제 5

다음 중 대한제국 시기에 발생한 사건만 모두 고른 것은?

① 대한자강회 결성
② 조선총독부 설치
③ 한일병합조약 체결
④ 헤이그 특사 파견





(답 해설)
다음은 위 5문제에 대한 정답 및 해설, 오답 해설 포함입니다.
※오늘 퀴즈의 목적은 핵심 키워드로 시대 구분 가능 여부 판단입니다.


문제 1

문제:
다음 중 순서상 가장 앞선 사건은?
① 을사늑약 체결
② 정미의병 결성
③ 통감부 설치
④ 고종 강제 퇴위

정답: ① 을사늑약 체결 (1905.11)

해설:

을사늑약(1905.11) → 통감부 설치(1906.2) → 고종 퇴위(1907.7) → 정미의병(1907.8)


오답 해설:
② 정미의병: 군대 해산 후 (1907.8)
③ 통감부: 을사늑약 이후 설치(1906)
④ 고종 퇴위: 헤이그 특사 파견 이후 일제의 강요로(1907.7)



문제 2

문제:
다음 중 같은 시기에 일어난 사건을 모두 고른 것은?
① 황성신문에 여권통문 게재
② 독립신문 창간
③ 대한제국 선포
④ 원산 총파업 발생

정답: ① 황성신문에 여권통문 게재, ③ 대한제국 선포 (1897~1898)

해설:

대한제국 선포: 1897

여권통문(1898): 여성 계몽운동, 황성신문 최초 보도


오답 해설:
② 독립신문 창간: 1896 (서재필, 순한글·영문)
④ 원산 총파업: 1929 (노동운동, 일제강점기 말기)




문제 3

문제:
다음 중 고종의 강제 퇴위 이후에 일어난 사건은?
① 대한매일신보 창간
② 13도창의군의 서울 진공작전
③ 을사늑약 체결
④ 국채보상운동 전개

정답: ② 13도창의군의 서울 진공작전 (1908)

해설:

고종 퇴위: 1907.7 → 이후 사건: 군대 해산(8월), 정미의병, 13도창의군 진공작전


오답 해설:
① 대한매일신보: 1904 창간
③ 을사늑약: 1905 체결
④ 국채보상운동: 1907 초반 시작 (퇴위 이전)



문제 4

문제:
다음 중 같은 시기의 사건이 아닌 것은?
① 일본이 외교고문을 파견
② 스티븐스가 외교 고문으로 활동
③ 통감부가 설치되어 외교권 장악
④ 총독부가 설치되어 조선총독이 부임

정답: ④ 총독부가 설치되어 조선총독이 부임 (1910)

해설:

①1906고문정치기통감부 설치

④는 한일병합 이후 총독정치기(1910)





문제 5

문제:
다음 중 대한제국 시기에 발생한 사건만 모두 고른 것은?
① 대한자강회 결성
② 조선총독부 설치
③ 한일병합조약 체결
④ 헤이그 특사 파견

정답: ① 대한자강회 결성, ④ 헤이그 특사 파견

해설:

대한제국 시기(1897~1910) 사건

자강회: 1906, 계몽운동 단체

헤이그 특사: 1907, 고종 주도 외교 시도


오답 해설:
② 총독부 설치: 1910 이후 식민지기
③ 한일병합조약: 1910.8 체결



대한제국 멸망기



1. 러일전쟁 승기 → 을사늑약 체결 (1905.11)

일본은 러일전쟁에서 승기를 잡은 뒤,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려 했습니다.
1905년 11월, 황제의 재가 없이 강제로 을사늑약을 체결하여 외교권을 박탈했고,
이듬해 2월에는 통감부를 설치해 조선에 대한 직접적인 외교·외사 통제를 시작합니다.

👉 핵심 키워드: 을사늑약, 외교권 박탈, 통감부 설치, 경부선개통



2. 대신들의 자결과 헤이그 특사 파견 (1907.6)

을사늑약 체결에 격렬히 반발한 민영환, 홍만식 등은 자결로 항거했고,
조병세 등은 벼슬을 버리고 항의했습니다.
이후 고종은 국제사회에 일본의 불법을 알리기 위해 1907년 헤이그 만국평화회의에
이준·이상설·이위종을 특사로 비밀 파견합니다.

👉 핵심 키워드: 을사오적, 민영환 자결, 이준·이상설·이위종, 헤이그 특사



3. 일본의 보복: 고종 강제 퇴위 (1907.7) → 정미7조약 체결

일본은 특사 파견을 구실로 고종을 강제 퇴위시키고,
그해 7월, 내정권까지 박탈하는 정미7조약(신협약)을 체결합니다.
이 조약에 따라 대한제국은 군사·행정 권한마저 일본에 넘기게 됩니다.

👉 핵심 키워드: 고종 퇴위, 순종 즉위, 정미7조약(신협약), 행정권 박탈



4. 군대 해산 → 정미의병 결성 (1907.8)

정미7조약의 이면 각서에 따라 대한제국 군대가 강제로 해산되자,
자결한 박승환 대대장의 총성을 신호로 해산군인들이 일본군과 교전하게 됩니다.
이후 해산군 출신과 유생들이 합류하여 정미의병이 조직되고,
1908년에는 13도창의군이 서울 진공을 계획합니다.

👉 핵심 키워드: 군대 해산, 박승환 자결, 정미의병, 13도창의군, 서울진공작전



5. 한편 민간에선: 국채보상운동 (1907.2~)

무장 저항과는 달리, 민간에서는 경제적 방법으로 국권을 지키려는 시도가 있었습니다.
대구에서 시작된 국채보상운동은 “나라 빚을 갚아 국권을 회복하자”는 취지로 전국적으로 확산되었고,
양기탁과 영국인 베델이 운영한 대한매일신보가 이를 적극 후원합니다.
그러나 일본은 이를 탄압하고, 두 사람을 의연금 횡령 혐의로 기소해 운동을 무력화시켰습니다.

👉 핵심 키워드: 국채보상운동, 의연금, 양기탁, 베델, 대한매일신보, 통감부 탄압



☆1909 안중근 이토히로부미 사실 만주 하얼빈



6. 최종 단계: 한일병합조약 체결 (1910.8) → 총독부 설치

1909년 이토 히로부미가 안중근에게 피살되고, 일본은 병합을 서두릅니다.
1910년 8월, 한일병합조약이 체결되며 대한제국은 공식적으로 소멸됩니다.
이후 조선총독부가 설치되어 무단통치가 본격화됩니다.

👉 핵심 키워드: 한일병합조약, 이완용·데라우치, 총독부 설치, 식민지화



전체 흐름 요약

연도 사건 키워드

1904 대한매일신보 창간 베델, 양기탁
1905.11 을사늑약 체결 외교권 박탈, 을사오적
1906.2 통감부 설치 이토 히로부미 초대 통감
1907.2~ 국채보상운동 대구 시작, 대한매일신보 후원
1907.6 헤이그 특사 파견 이준, 이상설, 이위종
1907.7 고종 강제 퇴위 순종 즉위, 정미7조약 체결
1907.8 군대 해산 → 정미의병 박승환 자결, 해산군 전투
1908.1 13도창의군 서울진공작전 실패
1910.8 한일병합조약 체결 총독부 설치, 식민지화




단순히 연도를 외우기보다는,
“어떤 권리를 빼앗겼고, 누가 어떻게 저항했는가”의 흐름을 중심으로 정리해야 합니다.

을사늑약 / 통감부 / 헤이그 특사 / 고종 퇴위 / 정미의병 / 국채보상운동 / 총독부 설치


각 사건의 전후관계와 시기를 확실히 구분해 두면
사료형 문제, 순서 배열형, 키워드 연결형 문제 모두 풀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