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아의 복습노트

2025.07.18 한국사 퀴즈(일제강점기 1910~1929) 정답과 오답 해설 공무원시험준비 데일리

반응형

안녕하세요.
2025.07.18 한국사 퀴즈(일제강점기) 정답과 오답 해설입니다.범위 1910~1929
한능검,  공무원시험준비 데일리


✅ Q1. 국권 강탈 직후, 토지 소유권을 명확히 한다는 명분으로 실시된 사업은?

정답: ② 토지조사사업
오답 해설:
① 회사령 – 기업 활동 통제 목적
③ 산미증식계획 – 1920년대 식량 수탈 정책
④ 임야조사사업 – 1910년대 후반~1930년대 산림 강탈 목적



✅ Q2. 조선인의 신체를 대상으로 가혹한 형벌을 허용한 법령은?

정답: ② 조선태형령
오답 해설:
① 보안법 – 정치사상 통제 목적
③ 신문지법 – 언론 통제
④ 보통경찰제 – 일제 경찰제도 일반



✅ Q3. 블라디보스토크 근처 한인 거주지로, 독립운동 기지는?

정답: ① 신한촌
오답 해설:
② 삼원보 – 서간도 지역
③ 서전서숙 – 이상설, 교육기관
④ 경학사 – 서간도, 독립운동단체



✅ Q4. 연해주에서 조직된 공화정 임시정부는?

정답: ② 대한광복군정부
오답 해설:
① 대한광복회 – 대구 기반 비밀결사
③ 국민의회 – 연해주 내 또 다른 조직
④ 고려혁명군 – 사회주의 무장 조직



✅ Q5. 순종 황제의 장례를 계기로 전개된 만세 운동은?

정답: ② 6·10 만세운동
오답 해설:
① 광주학생항일운동 – 한일학생 충돌이 계기
③ 3·1 운동 – 고종 장례 이후
④ 형평운동 – 백정 차별 철폐 운동



✅ Q6. “우리의 철천지원수는 자본제국주의 일본이다.”라는 격문이 사용된 운동은?

정답: ③ 6·10 만세운동
오답 해설:
① 광주학생항일운동 – 학생 주도, 한일 충돌
② 3·1 운동 – 민족주의 중심
④ 민족유일당 운동 – 정치적 단결 운동



✅ Q7. 한일 학생 간 충돌이 발단이 된 전국적 항일 시위는?

정답: ① 광주학생항일운동
오답 해설:
② 형평운동 – 신분 차별 철폐
③ 6·10 만세운동 – 순종 인산일 계기
④ 신간회 운동 – 정치 단체 활동



✅ Q8. 신간회가 진상조사단을 파견해 지원한 운동은?

정답: ① 광주학생항일운동
오답 해설:
② 조선형평사 운동 – 신분제 반대 운동
③ 3·1 운동 – 1919년, 전민족 시위
④ 원산총파업 – 노동운동



✅ Q9. 사건의 발생 순서 나열

(가) 간도 참변 → (나) 자유시 참변 → (다) 미쓰야 협정
정답: ① (가) → (나) → (다)
오답 해설:
다른 순서는 역사적 시간 순서 불일치



✅ Q10. 봉오동·청산리 전투 직후, 일제의 보복 학살 사건은?

정답: ② 간도 참변
오답 해설:
① 자유시 참변 – 독립군 내분
③ 미쓰야 협정 – 현상금 협정
④ 대한광복군정부 사건 – 해당 없음





1910년~1929년 정리
일제강점기


1910년대 – 무단통치와 조직된 저항의 시작

1910: 국권을 강탈한 일본은 총독부 설치와 함께 조선을 군사적으로 억압하는 무단통치 체제를 시작한다.

1910~1918: 가장 먼저 토지조사사업을 실시해 조선인의 토지를 국가 소유로 편입하고, 지주 중심의 식민지 농업체제를 구축한다.

1912: 조선인의 인권을 무시하는 조선태형령을 제정해 폭력적 통치를 제도화한다.

1914: 연해주 신한촌에서는 대한광복군정부가 수립되며, 해외 독립운동의 중심지가 형성된다.

1919: 고종의 죽음을 계기로 3·1운동이 전국적으로 일어나고, 이에 따라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상하이에 수립된다.



1920년대 – 무장투쟁과 대중운동의 확산

1920: 무장독립군은 봉오동·청산리 전투에서 일본군에 대승을 거두지만, 일제는 이에 대한 보복으로 간도참변을 자행한다.

1921: 독립군이 러시아로 이동했으나 자유시참변으로 큰 피해를 입고, 무장투쟁은 위기를 맞는다.

1923: 국내에서는 형평운동이 시작되어, 사회적 차별에 대한 민권운동이 펼쳐진다.

1925: 일본은 만주군벌과 미쓰야 협정을 맺어 독립군을 체계적으로 탄압한다.

1926: 순종의 인산일에 맞춰 사회주의자와 민족주의자가 연대한 6·10 만세운동이 전개되어, 민족유일당 운동의 계기를 마련한다.

1929: 광주에서 한일학생 충돌을 계기로 광주학생항일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며, 신간회가 이를 적극 지원한다.



반응형

댓글